본문 바로가기
Oil & Gas

석유 매장량의 정의 및 분류 체계 - 1

by 엔지니어앤트맨 2024. 10. 24.

안녕하세요, 엔지니어 앤트맨 입니다.

 

지난 2024년 6월에 대한민국 온국민을 떠들썩하게 했던 "포항 영일만 - 대왕고래 프로젝트" 관련 이슈를 기억하시나요?

아래 스크린샷은 나무위키에서 퍼온 최초 브리핑 관련 내용 입니다.

그림 1. 영일만 석유 매장 관련 나무위키 페이지

 

당시 주변 동료 및 지인들로부터 관련 전공자인 저에게 정말 여러가지 질문들을 주셨던 기억이 납니다.

그럴수밖에 없는 것이 석유의 매장량에 대한 정의를 정확히 정의하지 않고 미디어에서 매장량, 부존량, 자원량 등의 용어를 무분별하게 썼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오늘은 계속 미루고 있었던 주제인 석유의 매장량 분류체계에 대해서 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이해하시면 2024년 연말로 예정된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시추 관련 결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석유와 원유?

많은 분들께서 석유라는 말을 들으셨을 때 일반적으로 생각하시는 까맣고 끈적이는 액체는 석유가 아니라 원유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석유(Petroleum)는 지구 지각 내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액체 탄화수소 혼합물 의미합니다.

석유는 원유(Crude Oil)와 천연가스(Natural Gas)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석유자원량 대분류체계

제가 참고한 문헌에 따르면 석유자원량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류체계와 세부분류체계로 구분됩니다.

대분류체계에서는 석유자원량(Petroleum Resources)은 사업 또는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아래의 세 종류로 분류합니다.

  • 매장량(Reserves)
  • 발견잠재자원량(Contingent Resources)
  • 탐사자원량(Prospective Resources)

위의 세 가지 석유자원량은 시추에 의한 석유의 발견(Discovery)의 여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발견은 실제 시추작업을 통해 유동 가능한 석유의 존재가 확인됨을 의미합니다.

시추를 통해 발견된 석유자원량은 "발견잠재자원량" 또는 "매장량"의 범주에 포함되지만 시추작업 이전의 미발견 상태의 석유자원량은 "탐사자원량"으로 정의합니다.

 

사업 또는 프로젝트의 특정 시점에서 기술 및 경제적 관점에서 상업성이 인정되는 "매장량"으로 평가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상업성"은 합리적인 프로젝트 기간 내에 개발되어 생산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린 부분을 간략히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림 2. 석유자원량 대분류체계 모식도

 

위 모식도를 자세히 보시면 발견이 되고 상업성이 확인된 석유자원량에 대해서만 영문으로 "Reserves"라고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상업성이 확인되지 않은 모든 석유자원량은 "Resources"라고 표현하는 것이죠.

 

실전 적용: 포항 영일만 석유자원량의 이해

이제 이론을 정리했으니 실제로 영일만 관련 기사를 통해 배운 것을 적용해보겠습니다.

아래는 포항 영일만 관련 국정 브리핑 전문 입니다.

그림 3. 2024년 6월 2일 국정 브리핑 전문

 

브리핑 전문에서 여러 숫자들이 등장하는데 우선 저희는 이번에 화재가 된 "최대 140억 배럴"이라는 석유자원량에 대해서만 보겠습니다.

이해를 위해 전문 내용을 기반으로 몇 가지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 2023년 2월 물리탐사 심층 분석 맡김
  • 최근에 140억 배럴 매장 가능성 매우 높다는 결과 도출
  • 남미 가아아나 광구의 110억 배럴보다 더 많은 탐사 자원량
  • 탐사시추 계획을 승인 했음
  • 금년 말에 첫 번째 시추공 작업에 들어가 내년 상반기 어느 정도 결과가 나올 것

물리탐사 결과 나온 수치이고 결정적으로 아직 시추를 수행하기 전 이라는 사실에서 보면 이번에 이슈가 된 "140억 배럴"이라는 숫자는 탐사자원량을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수치를 남미 가이아나 광구의 수치와 비교하면서 "탐사자원량" 용어를 사용하며 이를 확인 해주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아직 시추도 수행하지 않았고 시추를 수행하더라도 상업성을 여러 관점에서 검토해야 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석유 매장량의 정의 및 분류체계 관련해서 대분류체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석유자원량 분류체계에는 더 자세한 세부분류체계도 있으나 이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문헌

성원모, 김세준, 이근상, 임종세, 2009, "국내 석유자원량 분류체계의 표준화",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6, No. 4, pp. 498-508.